[파이낸셜리뷰=이성민 기자] 코로나19가 우리 산업계의 변화를 불러일으키면서 성장 불균형을 초래하고 있다. 특히 고용 비중이 높은 대면 서비으 업종에 큰 피해가 발생하면서 고용 없는 경기회복이 우려되고 있다.
21일 한국은행이 ‘코로나19 위기 이후 성장 불균형 평가’ 보고서를 발간했는데 코로나19 위기가 신흥국, 대면서비스 업종, 취약계층에 영구적 충격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최근 성장 불균형이 일시적 디커플링(탈동조화) 현상이 아니라 상당 기간 지속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대면 서비스 업종 매출 타격
미국 등 주요 선진국에서 대면서비스 업종에 매출과 고용 충격이 집중되면서 소상공인·중소기업이 타격을 입은 것으로 나타나면서 우리나라도 비스한 양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도 판매직·임시일용직·자영업 등 취약고용 층의 일자리가 크게 감소한 후 회복세가 더딘 상황이다.
기업 규모별로는 2분기 중 중소기업의 생산 감소율(작년 동기 대비)이 대기업의 2배를 웃돌았고, 소득 4∼5분위(상위 40%) 가구의 근로·사업 소득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6∼4.4% 줄어드는 동안 1분위 가구(하위 20%)의 소득은 17.2%나 급감한 것으로 집계됐다.
올 2분기 국내 전 산업의 고용이 지난해 연말과 비교해 2.5% 감소하는 동안 대면서비스는 3.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감소폭이 더 컸다.
실물-금융간 괴리 커져
금융시장 회복 속도가 실물경제보다 빨라 실물-금융간 괴리가 커지는 점도 코로나19 사태 이후 ‘국가 내 성장 불균형’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방역 시스템과 재정 여력 등에서 열세인 신흥국이 선진국 보다 더 큰 충격을 받고 있다. IMF(국제통화기금)는 지난 10월 전망에서 2020∼2021년 중국을 제외한 신흥국의 누적 성장률 전망치를 작년 10월 당시보다 10%포인트나 낮췄다. 이와 비교해 선진국의 조정폭은 5.5%포인트에 불과했다.
비대면·온라인 활동 증가로 수요가 늘어난 ICT(정보통신기술) 제품 수출 비중이 큰 한국, 중국, 대만 등의 경기 회복 속도가 빠른 사실도 국가 간 성장 불균형의 사례로 거론됐다.
한은은 이런 국가 내, 국가 간 성장 불균형이 특정 경제 부문에 대한 의존도를 키우고 낙후한 부문의 성장을 제약하며 민간소비나 고용을 위축시켜 결국 잠재적으로 경기 회복 지연, 경제 양극화, 성장 잠재력 저하 등의 문제를 일으킬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고용 측면에서는 대면 서비스업 등 취업유발효과가 큰 산업에 코로나19 피해가 집중돼 고용회복 속도가 과거 위기 당시보다 더 늦어질 것으로 우려됐다.
이민자 실업자 역대 최대치
코로나19 사태는 우리나라 국민의 고용불안은 물론 이민자 실업자 숫자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5월 기준 15세 이상 국내 상주 외국인 133만 2천명 중 실업자는 지난해보다 1만 9천명 늘어난 7만명이었다.
외국인 취업자는 84만 8천명으로, 작년대비 1만 5천명 줄었고 고용률은 63.7%로 1.6% 하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