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中企 중심 정책에 불똥 튄 ‘스팩’”
2019-03-31 이영선 기자
[파이낸셜리뷰=이영선 기자] 정부가 중소기업 중심 정책을 펼치는 가운데 코스닥 시장이 활성화되면서 엉뚱하게도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 시장에 불똥이 튀고 있는 모습이다.
3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들어 미래에셋제3호스팩, 엔에이치스팩7호, 골든브릿지제3호스팩, 키움스팩3호 등 9개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가 상장폐지됐다.
이는 지난 2016년 0건, 2017년 8건에 불과했던 스팩 상장폐지된 것과는 대조적이다. 이들 9개 종목은 모두 합병 대상을 찾지 못해 코스닥시장에서 상장폐지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뿐만이 아니다. 현재 관리종목으로 지정된 케이비드림3호스팩, 교보5호스팩, 유진스팩3호 등도 상장예비심사 청구서를 제출하지 못하면 결국 상장폐지 수순을 밟게될 처지다.
스팩이란 비상장 기업과 합병을 목표로 코스닥에 상장된 일종의 페이퍼컴퍼니다. 2009년 말 일반 상장이 어려운 우량 중소기업들이 우회상장을 통해 코스닥시장에 입성할 수 있도록 도입된 제도다.
상장 후 3년 내 합병해야 하며, 합병에 실패하면 주주에게 공모가 수준의 원금과 3년치 이자 수익을 돌려준다.
그동안 증시에서는 비상장기업이 별도의 공모 절차 없이 증시에 상장하고 기업가치 평가 시 보다 유리하다는 점에서 매력적이라는 평가를 받아왔다.
아울러 투자자들도 공모주에 비해 청약경쟁률이 낮고 원금이 거의 보장된다는 점에서 스팩 투자를 즐겨 했다. 지난해에는 스팩 합병을 통해 21개 기업이 코스닥시장에 입성하는 등 역대 최고 실적을 기록했다.
하지만 올해 들어 정부의 코스닥 활성화 정책으로 시장 내 유동성이 풍부해진 가운데 코스닥 직상장 문턱까지 낮아지면서 분위기가 반전됐다. 스팩과 합병해 우회상장하기보다는 기업공개(IPO)를 추진하는 기업이 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코스닥시장 일평균 거래대금은 6조8715억원으로 지난해 일평균 거래대금(3조6885억원)에 비해 두 배 가량 증가했다.
게다가 정부가 지난 1월 코스닥시장 활성화 대책을 발표하면서 스팩 합병에 대한 수요가 더욱 감소했다.
당시 정부는 세전순이익 50억원, 시가총액 1000억원, 자기자본 250억원 등 세 가지 요건 중 하나만 갖추면 신규 상장할 수 있게 하겠다고 밝혔다.
실제로 올해 들어 동구바이오제약, 린드먼아시아, 알리코제약 등 9개 종목이 코스닥시장에 신규 상장한 반면 스팩 합병을 통한 상장은 현재까지 전무한 상황이다.
증권업계 한 관계자는 “지난 2월 거래소가 하이투자증권의 하이제3호스팩과 러셀 간 합병을 승인하면서 이르면 오는 5월경 첫 스팩 합병 상장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