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리뷰] 주요 시중은행은 왜 ‘파킹통장’ 금리를 올리지 않을까

2023-12-21     전수용 기자
사진=파이낸셜리뷰
[파이낸셜리뷰=전수용 기자] 올 한 해는 하루만 맡겨도 이자를 주는 ‘파킹통장’의 전성시대라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그 열풍은 현재진행형이다. 이같은 현상은 최근 인터넷은행들을 중심으로 연 4%대까지 파킹통장 최고금리를 상향하는 등 여유자금 흡수 경쟁에 열을 올린 영향이 크다는 데 이견이 없다. 다만 적극적으로 예적금 금리를 인상하던 국내 주요 시중은행들은 움직임이 포착되지 않고 있다. 그 이유는 뭘까.

인터넷은행, 고금리 경쟁 이어가

21일 금융권에 따르면 토스뱅크는 지난 12일 파킹통장 상품인 ‘토스뱅크 통장’의 최고 금리를 연 4%로 올린다고 발표했다. 토스뱅크 통장의 기본 금리는 연 2.3%인데 5000만원 초과분에 한해 금리를 연 4%로 올린 것이다. 다만 총 납입액이 5000만원이 넘으면 연 4%의 금리가 지급되는 것이 아니라 ‘5000만원 초과분에 한해’ 최고 금리가 적용되기 때문에 실질 금리는 연 4%에 미치지 못한다. 예를 들어 1억원을 넣으면 5000만원에 대해서는 연 2.3%, 나머지 5000만원에 대해서는 연 4% 금리가 적용되는 식이다. 이 경우 실질적으로 금리는 연 3.15%가 적용된다. 카카오뱅크의 파킹통장 상품 금리도 최근 꾸준히 올랐다. 카카오뱅크의 ‘세이프박스’ 금리는 연 2.6%로 토스뱅크 통장 기본금리보다 0.3%포인트 높고 케이뱅크 플러스박스보다는 0.4%포인트 낮다. 5000만원을 넣을 경우 토스뱅크 연 2.3%, 카카오뱅크 연 2.6%로 카카오뱅크가 낫지만 납입 한도인 1억원을 맞춰 예치한다면 토스뱅크 연 3.15%(실질 금리), 카카오뱅크 연 2.6%로 토스뱅크가 더 유리하다. 기본 금리가 연 3%대인 곳도 있다. 케이뱅크는 같은 날 파킹통장 상품인 ‘플러스박스’ 금리를 연 3%로 0.3%포인트 올렸다. 이 상품은 최대 3억원까지 납입 가능하다. 토스뱅크와 비교해 최고 금리는 낮지만 기본 금리는 더 높기 때문에 납입 액수에 따라 차이가 커진다. 1억원 이상 넣는다면 토스뱅크 통장이 0.15%포인트 더 높지만 예금자보호 한도인 5000만원 정도를 예치한다면 플러스박스가 0.7%포인트 더 높다. 케이뱅크는 이자를 월복리가 아니라 일복리로 받을 수 있는 ‘지금 이자받기’ 서비스도 시작한다.

요지부동 시중은행

그러나 시중은행에서는 별다른 변화가 없다. 이들의 주요 파킹통장 상품은 여전히 1~2%대의 금리를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 KB국민은행의 파킹통장 ‘마이핏통장’의 경우 현재 연 최고 1.5%의 금리를 제공한다. 신한은행의 ‘헤이영 머니박스’는 연 최고 2.2%, 우리은행의 ‘우리WON뱅킹 통장’은 최고 1.0%의 금리가 적용된다. 일부 3%대 이상의 최고금리가 적용되는 상품들도 존재한다. 그러나 금리 적용 한도가 낮아 비교적 큰 수익을 기대하기 힘들다. 하나은행의 ‘머니박스 통장’은 최대 연 3%의 금리가 적용되지만, 300만원까지만 해당 금리가 적용되며 나머지에는 0.1%의 금리가 적용된다. 최고 연 3%의 금리를 제공하는 NH농협은행의 ‘NH1934 우대통장’도 100만원 이하의 잔액에만 최고금리가 적용된다.
사진=픽사베이

비용 감수할 요인 적어

인터넷은행들의 경우 현재 자금조달 및 고객 확보가 절실하다. 중금리 대출 목표치를 맞추는 과정에서 재무 건전성 지표가 하락하고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은행채 발행을 하지 못하는 탓에, 수신을 통한 자금조달의 비중도 크다. 이에 시중의 여유 자금을 노리고 파킹통장 경쟁에 뛰어든 것이다. 하지만 이미 고객 기반이 확보된 시중은행들은 무리한 지출 및 위험 부담을 감수할 요인이 적다. 무엇보다 지출 부담이 크다. 수시입출금식 예금의 경우 은행이 금리를 올리면 모든 잔액에 상향된 금리가 적용된다. 가입 시에 금리가 정해지는 예적금과 비교했을 때 금리 인상으로 인한 부담은 커질 수밖에 없다. 현재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요구불예금(수시 입출금통장) 잔액은 600조가 넘는다. 만약 금리를 인상한다면, 1%포인트 당 연간 6조원 이상의 막대한 추가 자금이 소요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예적금과 비교했을 때, 수익성 또한 확실치 않다. 파킹통장과 같은 수시입출금식 예금의 지급준비율은 7%로 정기 예적금(2%)에 비해 높은 편이다. 같은 1억원의 돈이 들어온다고 해도 700만원은 활용할 수 없다는 얘기다. 수신 자금을 융통해 이윤을 창출하는 은행의 특성상, 파킹통장을 통한 수신은 예적금에 비해 매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심지어 파킹통장의 경우 언제든 인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자금 유출로 인한 건전성 위험도 작지 않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시중은행의 파킹통장 금리 인상은 당분간 큰 진척이 없을 전망이다. 시중은행 한 관계자는 “출범한지 얼마 되지 않은 인터넷은행들의 경우 파킹통장을 선점해 수신 고객을 확보하고자 열을 올리고 있다”면서 “이미 예적금 등을 통한 자금 및 고객 기반이 충분한 시중은행들의 경우 큰 비용이나 위험 부담을 들여 경쟁에 뛰어들 요인이 아직 부족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