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속 오늘리뷰] 12월 13일 전두환, 김대중에게 탄원서 작성 강요

2024-12-13     어기선 기자

[파이낸셜리뷰=어기선 기자] 1982년 12월 13일은 김대중 전 대통령이 전두환에게 다시는 정치를 하지 않겠다는 탄원서를 제출한 날이다.

이는 전두환 정권에 의해 강제적으로 작성된 것이고, 김대중 전 대통령을 망신주기 위한 것이며, 이를 언론에 공개함으로써 공개 망신을 줬다.

핵심 내용은 출국 허가를 하면 미국에서 치료를 받는 것은 물론 국내외로 일절 정치활동을 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12.12 군사반란으로

1979년 12월 9일 최규하 당시 대통령이 긴급조치 9호가 해제되면서 김대중 전 대통령이 가택 연금 상태에서 벗어났다. 이에 정치 활동을 재개하려고 했다. 하지만 12.12 군사반란으로 전두환 신군부가 권력을 잡으면서 신군부 세력과 부딪힐 운명이었다.

서울의 봄 시기 대학가를 다니면서 계엄령 연장을 해서는 안된다면서 계엄 철폐를 외쳤다. 또한 평화로운 방법으로 민주주의로 나아가야 한다고 설파했다.

하지만 신군부는 학생 시위가 북한의 사주를 받은 것이라고 유포하고 ‘묵한 남침 위협’ 소문을 퍼뜨렸다.

이에 1980년 5월 17일 신군부는 비상계엄을 전국으로 확대했고, 정치인들의 정치 활동을 금지시키고, 김대중 전 대통령을 내란 음모 혐의로 긴급 체포했다.

결국 5.18 광주민주화운동으로까지 번졌다. 이후 김대중 전 대통령에게 사형 선고가 떨여졌다. 그러나 미국 레이건 행정부는 김대중 전 대통령의 사형 집행을 반대했고, 글라이스틴 주한 미국 대사가 신군부를 압박하면서 김대중 전 대통령은 사형에서 무기징역으로 감형됐다.

미국으로 망명

그런 가운데 전두환 정권은 1982년 12월 신병 치료를 명분으로 미국 출국을 권유했다. 이에 김대중 전 대통령은 망명길에 오른다.

이때 전두환 정권은 탄원서 작성을 강요한다. 즉, 국내에서 정치 활동을 하지 않겠다는 탄원서이다.

이 탄원서를 작성하고 미국 망명길에 올랐지만 1985년 김영삼 전 대통령의 단식 투쟁으로 정치 규제가 풀리면서 야당 인사들이 신한민주당을 만들어 출마를 하려고 했고, 이에 김대중 전 대통령은 이들을 지원하기 위해 귀국을 결심한다.

하지만 많은 미국 인사들이 귀국을 하게 되면 공항에서 암살 될 수도 있다면서 우려를 표명했다. 레이건 행정부는 김대중 전 대통령의 안전 귀국을 전두환 정권이 보장하지 않으면 전두환의 방미를 무산시키겠다고 압박했다. 그리고 미국 의원들이 김대중 전 대통령의 귀국에 함께 동행했다.

그러나 국가안전기획부 요원들이 곧바로 김대중 전 대통령을 연행하고 동교동 자택에 연금시켰다. 그러나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한민주당이 돌풍을 일으키고, 제1 야당으로 올라섰다.

그리고 당시 신한민주당 총재였던 이민우가 김대중 전 대통령의 사면복권을 전두환 정권에게 요청하면서 가택 연금이 해제됐다. 그러나 사면 복권은 전두환 정권이 반대했기 때문에 이뤄지지 못했다. 이에 김대중 전 대통령은 김영삼 전 대통령과 함께 민주화 추진 협의회 공동 의장에 취임하여, 재야에서 민주화 운동을 하는 식으로 정치를 재개하기 시작했다.


바카라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