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진해운, 창립 40년만에 '역사의 뒤안길로'...끝내 파산

정부, 혼란 최소화에 주력할 방침

2018-02-17     이영선 기자
[파이낸셜리뷰=이영선 기자] 40년이라는 무구한 역사를 가진 국내 1위 선사였던 한진해운이 결국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돼 안타까움을 더하고 있다. 17일 오전 서울중앙지법 파산6부는 한진해운에 대해 파산을 최종 선고했다. 재판부는 “한진해운이 주요 영업을 양도하면서 청산할 때의 가치가 기업을 계속 유지할 때보다 높게 인정돼 한진해운에 대한 회생절차를 폐지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파산채권의 신고 기간은 오는 5월 1일까지로, 향후 자산매각과 채권자 배분 순으로 파산절차가 진행될 예정이다.  또한 1회 채권자 집회와 채권 조사는 오는 6월 1일 서울법원종합청사에서 진행될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지난 1977년 한진그룹 창업주인 고(故) 조중훈 회장이 설립한 한진해운은 역사 속으로 자취를 감추게 됐다. 한진해운은 한때 국내 1위, 세계 7위로 해운업계의 대명사라는 평가를 받았지만 지난 2006년 이후 해운업 침체로 유동성 위기가 심화됐다. 지난 2014년 조양호 회장이 경영권을 인수해 정상화에 나섰지만 이마저도 실패해 결국 지난해 9월 기업회생절차에 들어갔다. 최근 한진해운이 보유했던 미주·아시아노선 영업망과 롱비치터미널 지분 등 주요 자산도 현대상선과 SM상선 등에 매각했으며 사실상 기업 홈페이지도 파산 선고 하루 전날 폐쇄됐다. 관련업계 관계자는 “이번 한진해운 파산에 따라 후폭풍을 우려된다”며 “주요 항이었던 부산항의 물동량이 한진해운 법정관리 이후 크게 감소했고거 밀린 거래 대금을 받지 못한 중소 협력업체들의 피해도 불가피하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지난해 8월 기준 106만TEU(1TEU=20피트 길이 컨테이너 1개)였던 컨테이너 수송력이 12월에는 51만TEU까지 떨어졌다. 정부는 한진해운 파산에 따른 혼란을 최소화하는데 주력한다는 계획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지난해 국내 해운산업이 재도약할 수 있도록 총 6조 5000억원 규모의 금융지원 등의 내용을 담은 '해운산업 경쟁력 강화방안'을 마련한 바 있다. 아울러 해운산업 경쟁력 강화방안을 토대로 한국선박해양 설립과 글로벌 해양펀드 개편, 선박 신조 프로그램 운영을 본격화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해운·조선 상생협의회 운영을 통해 선박 발주 애로사항을 해소하고, 발주 수요·조선소 수급 상황 관련 정보 등 정보공유시스템을 마련할 계획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무역국가로서 우리나라의 해운업 역할은 매우 중요하고 기능은 충실히 유지돼야 한다”며 “취약했던 산업구조를 탈피해 보다 경쟁력 있고 지속가능한 산업으로 발전시켜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