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리뷰:버거편①] '햄버거의 배신'...버거 기업 실적악화 대책이 ‘가격인상’?
버거 브랜드 수익성 꼴찌 ‘맥도날드’부터 순서대로 가격인상 단행...1·2위 가격 안올려 롯데리아 등 지난해 원가율 낮아졌지만 원가부담 이유로 들어...KFC만 원가율 상승
2024-08-19 최용운 기자
[편집자주] 내년이면 최저임금 1만원 시대가 시작된다. 정치권에서는 직장인 식대 비과세 한도를 월 20만원에서 30만원으로 상향하는 법안이 발의됐다. 소비자 물가가 크게 올랐기 때문이다. 서울 중심가 오피스타운에는 한 끼 식대가 1만원을 넘는 곳이 즐비하다. 그런 가운데 여전히 1만원으로 한 끼 해결할 수 대표적인 식품이 있다. 패스트푸드의 대명사 ‘햄버거’가 주인공. 그런데 이 햄버거마저도 물가상승을 이유로 대부분 브랜드가 가격을 올리고 있다. 서민 입장에서는 ‘햄버거 너마저?’라는 말이 나올 지경이다. 이에 본지는 햄버거 가격인상 적정성과 함께 대표적인 버거 브랜드 기업들의 경영 및 재무현황을 분석했다.
맥도날드-KFC-롯데리아 順 올해 가격인상 단행...실적 나쁜 순서대로 인상
올해 버거 기업들의 가격인상은 지난해 영업이익률 순위와는 반대 순서로 진행됐다. 먼저 영업이익률 ‘꼴찌’ 맥도날드가 지난 5월 16개 품목의 가격을 평균 2.8% 올렸다. 이어 6월에는 KFC가 대표 메뉴 ‘징거세트’를 100원 인상했고, 지난 8일부로 롯데리아가 버거류 가격을 평균 2.2% 높여 받기 시작했다. 반면, 1·2위를 기록한 맘스터치와 버거킹은 가격을 올리지 않았다. 심지어 맘스터치는 올해 안에 가격인상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다만, 두 회사도 지난해까지 매년 1~2회 가격을 인상하며 원가율를 낮췄다. 버거 기업들은 배달 수수료, 인건비, 원자잿값 상승 등을 가격인상 이유로 들었다. 하지만 모두 지난해까지 매년 가격을 인상함에 따라 매출원가율(매출원가/매출액)이 실제로는 대부분 떨어졌다. 원가는 낮아졌는데 원가부담을 이유로 가격을 올린 것이다. 지난 2022년 대비 2023년의 각 사별 매출원가율은 KFC를 제외하고는 모두 낮아졌다. 맥도날드는 37.3%에서 37.1%로 0.2%p 줄었고, 롯데리아는 51.9%에서 48.9%로 3.0%p 낮아졌다. 버거킹은 38.4%에서 35.3%로 2.5% 감소했고, 맘스터치는 68.7%에서 1.2%p 줄어든 67.5%로 나타났다. KFC만이 25.5%에서 지난해 원가율이 2.5%p 오른 27.7%로 원가부담이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가격인상은 악화되는 재무구조 개선 위한 방책?...KFC 부채비율 4500% ‘최악’
버거기업의 연례 행사와 같은 가격인상의 이유로 일각에서는 경영악화에 따른 재무구조 개선을 위한 방책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실제 원가율이 하락한 데 반해 원가상승 요인과는 달리 다른 이유로 실적이 악화된 부담요인을 ‘소비자에게 전가’한 것이라고 본 것이다. 분석대상 기업 중 지난해 유일한 영업적자를 기록한 맥도날드는 5년 연속 적자를 이어오며 2022년 부채비율이 1277%까지 급등했다. 다만, 대주주의 유상증자를 통한 전폭적인 지원으로 지난해 말 기준 부채비율이 171%로 크게 낮아졌다. 이외 기업들은 모기업이나 대주주의 특별한 지원 없는 ‘각자도생’으로 재무구조는 점차 악화되고 있다. 특히, KFC는 2020년 완전 자본잠식에 빠졌다가 겨우 회복해 지난해 4500%의 부채비율로 ‘벼랑끝’에 서 있는 상황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신규 사업자의 등장 및 고속성장 등의 영향으로 기존 버거 브랜드가 고전하고 있다”면서 “이를 극복하는 방편으로 본질적인 경영체질 개선을 위한 경쟁력 강화나 비용효율화를 위한 노력보다는 비교적 쉬운 가격인상을 선택해 온 점이 아쉽다”고 지적했다.(이어서 보기)
[재무리뷰:버거편②] 버거킹, 영업이익 들쭉날쭉…사모펀드 엑시트 먹구름?
[재무리뷰:버거편③] 맘스터치, 사모펀드가 일군 성장…자진상폐 후 이익실현?
[재무리뷰:버거편④] KFC, 한때 완전자본잠식…사모펀드가 ‘탈바꿈’ 시킬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