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수산물클러스터 2030년까지 3곳 조성 목표
목포·부산 이어 인천 유력한데 “자리 없다”며 중단
시 “적합입지 매립 필요 사업비 3100억여원 육박”

인천투데이=이종선 기자 | 해양수산부가 이른바 바다생활권으로 대표되는 ‘어촌·연안 활력 제고방안’을 발표했다. 인천과 부산 등 대도시권은 해양수산 융·복합 기능을 강화하는 게 핵심이다.

하지만 정작 내용을 보면, 인천은 부산·목포와 달리 수산분야에서 빠져있다. 인천은 수도권 최대 항만도시로 수산물을 유통할 인구 2500만의 배후수요가 있다. 하지만 이를 뒷받침할 수산물 클러스터 조성계획은 마땅한 입지조차 없어 중단된 상태다.

지난 13일 해양수산부는 ‘어촌·연안 활력 제고방안’을 발표했다. 오는 2027년까지 어촌과 연안을 아우르는 바다생활권을 조성해 매출액 50조원을 달성하겠다는 계획이다.

지난 13일 해수부가 발표한 '어촌 연안 활력 제고방안' 내용.
지난 13일 해수부가 발표한 '어촌 연안 활력 제고방안' 내용.

해수부는 바다생활권을 어촌·도시·지역별 특성에 맞춰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부산·인천 등 해양도시는 해양수산 융·복합 기능 강화가 목표로 꼽혔다. 세부적으로는 항만재개발과 연계한 해양관광 거점 조성, 수산물 가공·유통·수출 집적화단지(클러스터) 확대 등이다.

이미 전남 목포에는 총사업비 1200억원이 투입된 수산물 유통·가공 클러스터가 조성됐다. 부산은 총사업비 1059억원을 들여 내년까지 완료될 예정이다. 수산식품 연구개발(R&D), 창업·수출·마케팅 지원 등으로 수산식품산업 경쟁력 강화와 지역경제 활성화 역할을 맡는다.

해수부는 다른 지역 1곳에 추가로 수산물 클러스터를 조성할 예정이다. 해수부가 지난 2017년 마련한 ‘수산식품 수출·가공 클러스터 추진계획’을 보면, 오는 2030년까지 국내 동해·남해·서해권역에 각 1곳씩 거점으로 수산물 클러스터를 조성하는 게 목표다. 하지만 정작 현재 계획에 인천은 없었다.

해수부 관계자는 “현재 수산물 클러스터 조성 예정 지역에 인천은 없다. 다른 지자체도 마찬가지로 미정인 상태”라며 “부산과 목포의 경우 각 지자체가 먼저 수산물 클러스터 조성사업을 위한 국비지원 요청을 했지만, 인천은 아직 그런 움직임이 없었다”고 설명했다.

시 “적합입지 매립 필요 사업비 3100억여원 육박 경제성 부족”

하지만 인천시는 적정 규모의 용지를 확보하기 어려워 해수부에 제안하지 못했다는 입장이다.

시는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에 의뢰해 지난 2022년 ‘인천시 수산물 유통단지 조성계획 수립 용역’을 완료했다. 용역결과를 보면, 연안부두 주변은 대부분 용지가 기존 용도대로 쓰이고 있고, 규모도 협소해 마땅한 입지가 없다는 게 결론이다.

인천시가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에 의뢰해 지난 2022년 완료한 ‘인천시 수산물 유통단지 조성계획 수립 용역' 결과. 인천남항 배후단지가 가장 적합한 곳으로 선정됐다.(자료제공 인천시)
인천시가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에 의뢰해 지난 2022년 완료한 ‘인천시 수산물 유통단지 조성계획 수립 용역' 결과. 인천남항 배후단지가 가장 적합한 곳으로 선정됐다.(자료제공 인천시)

그나마 적합한 입지로 꼽힌 곳은 임천남항 배후 아암물류단지 1단지와 2단지 사이 수로 구역이다. 이 주변은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제2경인고속도로와 인접해 수도권 곳곳으로 수산물을 유통할 물류망을 잘 갖췄고, 거주지역과 멀어 민원발생 우려가 적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이곳은 사업 추진 시 매립과정이 필요하다. 매립비용까지 산정한 총사업비는 3100억여원으로 추정된다. 결국 경제성이 나오지 않는다는 이유다. 이에 따라 현재 인천시는 수산물 클러스터 조성 논의를 중단한 상태다.

인천시 수산과 관계자는 “당초 계획한 수산물 유통단지는 활어·선어 도매센터와 종합유통센터, 저온물류센터 등을 조성하는 내용으로 필요한 면적인 5만~9만㎡에 이른다. 인천내항·남항 주변에는 마땅한 곳이 없는 게 현실”이라며 “향후 항만 일대 재정비 등으로 여유 용지가 나오지 않는 한 한동안은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