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항만공사, 수산무역협회와 수출 활성화 협약
중국, 일본 수산물 제재로 인천항 수산물 수출↑
연안카페리 0척에 수산물단지 조성 수십년째 답보

인천투데이=이종선 기자 | 지난해 급증한 인천항 수산물 수출 물동량을 지속해서 창출하기 위해 인천항만공사가 관계기관들과 잇따라 수산물 수출 활성화 업무협약을 유치하고 있다.

하지만, 인천항엔 제대로 된 수산물 유통단지도 없고, 연안 카페리선 조차 1척도 없어 수산물 수출 증대를 담보할 인프라가 없는 실정이다.

인천항만공사는 8일 한국수산무역협회(KFTA)와 수산식품 수출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했다.(사진제공 인천항만공사)
인천항만공사는 8일 한국수산무역협회(KFTA)와 수산식품 수출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했다.(사진제공 인천항만공사)

인천항만공사는 8일 한국수산무역협회(KFTA)와 수산식품 수출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했다고 밝혔다.

두 기관은 향후 ▲수산무역 정보교환 ▲K-Seafood 홍보 ▲인천항 물동량 인센티브 사업 홍보 ▲수산식품 수출입 기업 지원방안 모색 ▲공동마케팅 등을 추진한다.

특히, 중국·베트남 지역 인천항만공사 해외사무소를 거점으로 협회와 협력해 국내 수산식품의 수출 판로개척을 지원할 예정이다.

인천항만공사는 앞서 지난해 12월에도 수협중앙회 경인서부수협, 인천수협, 제주어류양식수협 등과 ‘인천항 수산물 수출 증진 및 수출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했다. 모두 지난해 급증한 인천항 수산물 수출 물동량을 지속적으로 창출하기 위한 방안이었다.

인천항 수산물 수출량은 지난해 1만8191톤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2022년 대비 54.7% 증가한 수치다. 이는 인천항 역대 수산물 수출량 중 가장 높은 수치이다. 물량 대부분이 중국 수출이다. 이는 일본이 후쿠시마 오염수를 방류하면서 중국이 일본산 수산물 수입 제재조치를 한 데 따른 영향이다.

해수부, 인천~제주 카페리 복원 '팔짱'...수산물단지 번번이 무산

이처럼 인천항 수산물 수출 증가세를 유지하기 위한 방안을 강구하고 있지만, 인천에는 수도권 2500만 인구의 수산물 배후수요를 뒷받침할 인프라는 부족하다.

우선 인천에는 수산물을 운반할 연안 카페리선조차 없다. 인천~제주 카페리는 지난해 4월부터 중단돼 현재는 여객운송사업자는 면허를 반납한 상태다. 수산물 유통 활성화를 위해선 인천~제주 카페리를 복원하는 게 필수지만, 해수부를 비롯한 해운당국은 별다른 계획이 없다.

또한 인천에는 수산물 유통 클러스터(집적화단지)조차 없다. 인천종합어시장과 인천활어도매시장 등을 통합하는 수도권 수산물단지를 조성하기 위한 시도는 1995년부터 있었으나 매번 수포로 돌아갔다. 노후한 인천종합어시장 이전 계획도 대안으로 나왔으나 18년째 표류 상태다.

연안부두(사진출처 인천관광공사)
연안부두(사진출처 인천관광공사)

연안부두 인근 활어 도매업체 국내 수산물 유통 30% 육박

인천항만공사는 올해 개장 예정인 인천신항 콜드체인(냉동·냉장 온도조절 물류시설) 클러스터를 활용해 수산물 목적 물류센터 항만시설 임대료를 면제해 준다는 구상이다. 하지만 현재 제주산 농수산물은 모두 목포항에서 화물차량으로 옮겨져 수도권에 공급된다. 수산물 클러스터도 없는데, 이를 다시 인천항으로 옮길 요인은 없는 실정이다.

인천연구원 또한 지난 2022년 ‘연안항·남항 배후지역 일원 기능변화에 따른 정책 방향 연구: 항동7가를 중심으로‘ 보고서를 발간하며, 인천항 연안여객터미널(연안부두) 일대를 수산물 집적단지로 조성하고, 유통·판매·관광 등을 활성화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한 바 있다.

연안항 일대가 활성화되고 수산물 집적단지가 조성될 경우, 부산, 전남 목포, 전북 군산 등에 이어 수도권 최초로 인천에서 수산물 집적단지가 조성되는 셈이다. 아울러 연안부두 인근 활어 도매업체는 국내 수산물 유통물량의 약 30%를 차지한다. 그만큼 인천지역 수산물 유통산업도 대폭 활성화될 수 있다.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