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A, 수산무역협회 회원사 초청 물동량 유치 노력
인천항 연안카페리 0척 수산물 유통 경쟁력 떨어져
수산물클러스터 조성 번번 무산 입지 마련조차 아직

인천투데이=이종선·인투아이(INTO-AI) 기자 | 지난해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한 인천항 수산물 수출입 물동량을 지속해서 유지하기 위해 인천항만공사가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부산·목포 등 항만에 비해 이를 뒷받침할 인프라는 부족한 실정이다. 수산물집적화단지(클러스터) 조성과 카페리 도입 등으로 인천항 경쟁력을 높여야 할 시점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인천항만공사는 26일 국수산무역협회(KFTA)와 함께 ‘한국수산무역협회 회원사 초청 인천항 설명회’를 개최했다.(사진제공 인천항만공사)
인천항만공사는 26일 국수산무역협회(KFTA)와 함께 ‘한국수산무역협회 회원사 초청 인천항 설명회’를 개최했다.(사진제공 인천항만공사)

작년 인천항 수산물 물동량 최고치...일본 수산물 수출 제재 영향

인천항만공사는 26일 국수산무역협회(KFTA)와 함께 ‘한국수산무역협회 회원사 초청 인천항 설명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설명회는 지난달 두 기관이 체결한 ‘인천항 수산식품 수출 활성화 및 수산무역 분야 상호협력 업무협약’ 일환으로 추진된 첫 번째 행사다. 인천항 인근 소재 수산물 수출입업체 15개사 참여했다.

공사는 인천신항 콜드체인 특화구역과 배후단지 내 냉동·냉장 물류센터 시설, 냉동·냉장 인센티브 등을 소개했다.

이같은 노력은 지난해 1만8191톤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인천항 수산물 물동량을 지속적으로 창출하기 위한 노력이다. 이 기록은 일본의 후쿠시마 핵 오염수를 방류하면서 중국이 일본산 수산물 수입제재조치를 한데 따른 영향이 컸다.

인천항 수산물 운반할 연안카페리 0척 유통망 경쟁력 떨어져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인천항의 수산물 수출입 물동량 증대를 뒷받침할 인프라가 부족하다는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특히, 인천항에는 국내산 수산물을 직접 운반할 연안 카페리선조차 없어 목포와 부산과 비교해 경쟁력이 떨어진다.

인천~제주 카페리는 지난해 4월부터 중단돼 현재는 여객운송사업자는 면허를 반납한 상태다. 수산물 유통 활성화를 위해선 인천~제주 카페리를 복원하는 게 필수지만, 해수부를 비롯한 해운당국은 항로 복원 계획이 말뿐이다.

공사는 2027년 말 개장 예정인 인천신항 콜드체인(냉동·냉장 온도조절 물류시설) 클러스터를 활용해 수산물 목적 물류센터 항만시설 임대료를 면제해 준다는 구상이다. 하지만 인천항엔 카페리도 없는데, 굳이 화물차로 타 지역 수산물을 인천항으로 옮길 요인은 없는 셈이다.

연안부두 인천종합어시장(사진제공 인천시)
연안부두 인천종합어시장(사진제공 인천시)

인천항 수산물클러스터 조성 번번이 무산 입지 마련조차 아직

또한 목포와 부산은 이미 수산물클러스터를 보유하고 있어, 수산물 물동량 처리를 위한 기반시설이 인천보다 잘 갖춰져 있다. 수산물클러스터는 수산물의 생산, 가공, 유통, 수출입 등을 한 곳에서 처리할 수 있다. 수산물 물류의 효율성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반면, 인천항에는 수산물클러스터가 없어 수산물의 집적화와 효율적인 물류 처리가 어려운 상황이다.

인천종합어시장과 인천활어도매시장 등을 통합하는 수도권 수산물단지를 조성하기 위한 시도는 1995년부터 있었으나 매번 수포로 돌아갔다. 노후한 인천종합어시장 이전 계획도 대안으로 나왔으나 18년째 표류 상태다.

인천연구원 또한 지난 2022년 ‘연안항·남항 배후지역 일원 기능변화에 따른 정책 방향 연구: 항동7가를 중심으로‘ 보고서를 발간하며, 인천항 연안여객터미널(연안부두) 일대를 수산물 집적단지로 조성하고, 유통·판매·관광 등을 활성화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한 바 있다.

인천은 수도권 최대 항만도시로 수산물을 유통할 2500만 인구의 배후수요가 있다는 것도 큰 장점이다. 하지만, 정작 인천항 수산물클러스터는 땅값 문제로 제대로 된 입지조차 마련하지 못해 논의가 중단된 상태다.

※ 이 기사는 AI 프로그램 챗GPT4를 활용해 작성했습니다.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