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MRO 경쟁력 강화방안 발표... 시장규모 5조 확대
인천 ‘해외MRO’, 사천 ‘중정비·군수’ 중점 지역갈등 봉합
정부·지자체·공항공사 협의체 구성 지역 연계·상생 도모

인천투데이=이종선 기자 | 국토교통부가 인천국제공항에 해외 복합 항공정비(MRO) 업체를 유치해 경쟁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중복 투자가 우려된 사천공항에는 군수와 기체 중정비를 중심으로 MRO 산업을 육성한다. 지역별 특화분야 육성 방침을 다시 강조한 것이다.

극토부는 지난 12일 ‘MRO산업 경쟁력 강화방안’을 발표하며 이같은 계획을 밝혔다.

이스라엘 벤구리온공항에 위치한 IAI사의 정비시설에서 여객기를 화물기로 개조하고 있는 모습.(사진제공 인천공항공사)
이스라엘 벤구리온공항에 위치한 IAI사의 정비시설에서 여객기를 화물기로 개조하고 있는 모습.(사진제공 인천공항공사)

이번 대책은 성장잠재력이 높은 MRO산업을 체계적으로 육성하기 위해 마련했다.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항공부품 제작 등 연관산업의 동반성장을 노리고, 항공안전을 강화하기 위해 수립했다.

계획에는 인천공항을 해외 복합 MRO업체를 유치하고, 사천공항은 기체중정비와 군수를 중심으로 육성한다. 지난 2019년 발표한 항공산업 육성정책과 큰 차이가 없다.

당시 국토부는 ‘공항별 역할분담’ 시책을 마련했다. 사천공항은 기체 중정비, 김포공항은 저비용항공사 경정비, 인천공항은 해외 MRO 업체 유치(화물기 제조, 엔진업체 등) 등이 골자다.

또한 국토부는 이번 계획에서 지역 간 상생방안을 발표했다. 정부·지자체·공항공사 등과 협의체를 구성해 지역 간 상생방안을 논의하겠다는 계획이다. 예를 들어 인천공항에 입점한 해외 MRO업체가 항공기 개조사업 시 필요한 부품을 사천지역 업체와 협력해 조달할 수 있다.

이를 토대로 국토부는 공항별 MRO 집적화를 빠르게 추진하고, 입주 기업에 사업용지·정비시설 저리임대, 조세감면 등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따라 사천공항과 인천공항이 MRO산업을 두고 벌이는 갈등은 어느 정도 일단락될 것으로 보인다.

경남 정치권은 인천공항 MRO산업 유치는 중복투자이며 국가균형발전에 역행한다는 주장을 해왔다. 국민의힘 하영제(사천‧남해군‧하동군) 국회의원은 인천공항에 MRO산업을 육성할 수 없게 막는 인천공항공사법 개정안을 발의하기도 했다.

이에 인천 시민사회와 정치권은 날로 높아지는 인천공항 지연·결항률을 언급하며 국내 항공산업 발전을 막는 지역이기주의라고 반박했다. 또한 세계 수준의 관문인 인천공항이 MRO산업 육성에 최적지라는 점을 강조했다.

국토부 발표에 따라 인천 MRO 산업에도 힘이 실릴 전망이다. 박남춘 인천시장도 지난달 취임 3주년 기자회견에서 “인천공항 MRO는 경남지역이 반대한다고 해서 멈출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라고 밝힌 바 있다.

집중투자로 2030년 국내 MRO시장 5조원 확대

대한항공 인천공항 격납고의 행거 모습.
대한항공 인천공항 격납고의 행거 모습.

국토부는 국내 MRO시장이 내수 위주로만 이뤄져있어 해외 위탁정비율(56%)이 높다고 분석했다. 해외 주요국가 대비 가격경쟁력이 취약하고, 핵심기술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또한 산업의 집적화가 이뤄지지 않고, 전문인력 육성과 인증체계 기반이 미비하다고 파악했다.

이에 국토부는 지난해 기준 44% 수준인 국내 항공기 MRO 정비물량 처리율을 2025년까지 70%까지 높이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또한 2030년까지 국내 MRO 시장규모를 지난해 기준 7000억원 수준에서 5조원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MRO 분야 일자리도 지난해 기준 7000여명에서 2030년 2만3000명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MRO자격 취득자 수는 1만4000명에서 2025년 2만명까지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국내 MRO 기술수준이 2030년에는 선진국의 90% 수준까지 높아진다. 정비로 인한 항공기 지연은 2025년까지 기존 대비 80% 수준으로 감축될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