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혁 컬럼] 엔트로피가 증가하는 창의적 사회
[김진혁 컬럼] 엔트로피가 증가하는 창의적 사회
  • 김진혁
  • 승인 2022.03.11 10: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파이낸셜리뷰] 물리학의 열역학(熱力學)에는 두 가지 법칙이 있다. 첫째는 에너지 보존의 법칙으로 에너지는 항상 일정한 양으로 보존된다는 법칙이다. 둘째는 엔트로피(Entropy)법칙이다. 1855년 독일의 물리학자 루돌프 클라우지우스가 명명한 엔트로피는 ‘변형’ 또는 ‘진화’를 뜻하는 그리스어이다. 엔트로피는 만물이 변하는 것에 초점이 맞춰있다. 모든 사물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질서에서 무질서로, 쓸모 있는 데서 쓸모없는 데로 변화한다는 법칙이다. 또한 에너지와 물질의 형태 변화는 오로지 한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이 비가역성인 엔트로피(entropy)는 원래 상태로 돌아오기 어렵다.
엔트로피는 물리학에서만 뿐만 아니라 예술 경제 인간관계 등 사회과학 현상을 설명하는 데도 널리 활용된다. 모든 사물이 그러하듯 사랑도 행복도 그냥 두면 안 좋은 방향으로 나빠지고 식는다. 그래서 사랑과 행복을 계속 유지하려면 본래 투입되었던 에너지와 정성만큼 계속 투입되는 노력을 하여야 한다. 쉬운 예를 들면 인간이 생존을 위해 무엇인가를 먹고 나면 생리적인 엔트로피 작용이 일어난다. 결혼하기 전에는 뜨겁게 사랑했지만, 결혼 후에는 정열이 식는다. 젊었을 때는 건강하다가 나이 들면 약해진다. 이런 변화를 막기 위한 대안은 한 가지밖에 없다. 이전처럼 에너지와 정성, 관심, 배려를 해야 한다. 새로운 성장을 꿈꾸는 개인이나 조직은 엔트로피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혁신이 필요하다. 혁신(革故鼎新)이란 가죽을 새롭게 무두질하는 것으로 희생과 새로 고침을 감내하는 것이다. 무질서에서 엔트로피를 낮추고 소비자가 진정으로 원하고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개발해야 한다. 사회 전반에 흐르는 망령된 전체주의화와 계층 간 갈라 세우기에 중단하지 않으면 미래는 없다. 세상일의 매력은 재해석에 있다. 오늘날 인문학이 높은 관심을 갖게 하는 이유는 정해진 답과 고정된 해석이 없기 때문이다. 시대 상황에 따라 새롭게 창의성을 발휘해야 할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