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신조 일당이 내려와
실미도 부대가 만들어진 계기는 1968년 1월 21일 북한 무장 게릴라가 당시 국가원수였던 박정희 대통령을 암살하기 위해 청와대 턱밑 앞까지 내려온 이른바 ‘김신조 사건’이 발생했다. 이에 우리 정부 역시 김일성을 암살하겠다는 계획을 세운다. 이에 3군에 1개씩 전담할 특수부대를 창설하는데 공군은 684부대를 창설하고 실미도에서 비밀 훈련을 하게 됐다. 하지만 1970년대초 미중수교가 이뤄지고, 남북 적십자 회담 등이 이뤄지면서 남북 화해 분위기가 조성됐다. 게다가 중앙정보부장이 교체되면서 박정희 대통령으로서는 실미도 부대에 대해 잊어버렸다. 박정희 대통령이 관심을 보이지 않으면서 부대 예산 착복 현상이 발생했고, 부대원들에 대한 대우가 나빠졌다. 봉급이 끊기고, 음식 배급이 부실해지면서 굶주리는 사태가 발생했다. 또한 시간이 오래 흐르면서 초반에 실미도 부대의 훈련을 맡았던 교관 및 조교들이 떠났고, 기간원들이 들오면서 실미도 부대원들과 기관원들 사이에는 긴장감이 흐를 수밖에 없었다. 일각에서는 기간원들이 보안 유지를 위해 부대원들을 몰살시키자는 이야기가 나왔다고 한다. 불안감에 휩싸이면서 실미도 부대원들은 박정희 대통령을 만나 담판을 짓겠다면서 기간병들을 죽이고 탈영을 하게 된다.자폭으로 끝나
1971년 8월 23일 섬을 탈출한 부대원들은 인천에 상륙했고, 시외버스를 탈취해 부평, 소사, 영등포를 거쳐 청와대로 돌격하려고 했다. 결국 유한양행 본사 건물 앞에서 육군 제30보병사단 예하 병력에 의해 저지됐다. 그러면서 총격전이 벌어졌는데 실미도 부대가 점차 불리해졌다. 이에 부대원들은 수류탄으로 자폭을 했고, 4명은 살아남았다. 부대원 4명은 국회에 출석해서 야당 의원들이 “실미도에는 대체 왜 들어간 겁니까? 거기서 대체 무슨 일을 했습니까?”라고 질문하자 “비밀 사항이라서 말씀드릴 수가 없습니다”고 대답했다. 이는 사전에 군 관계자가 찾아와서 “이대로 가면 어차피 니네 사형당할 거야. 마지막 기회다, 같이 월남 가자. 그 대신 누가 묻더라도 보안상 절대 말할 수 없다고 해. 그래야 니들 모두 살 수 있어”라고 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들은 월남으로 가지 않았고, 군법 재판에 의해 사형 판결 받았고, 판결 받은지 70일 만에 총살됐다.진실 외친 사람들
정부는 처음에 무장공비라고 발표했다. 그러다가 ‘군 특수범’이라고 말을 바꿨다. 그러나 신민당 국회의원이었던 육사 7기 예비역 육군 준장 이세규 장군은 그들의 정체를 공군 산하 무장 특공대라고 폭로했다. 이세규 의원은 이 일로 남산에 끌려가 모진 고문을 받았다고 한다. 또한 당시 공군 참모총장이었던 김두만이 경질되고 옥만호가 후임 총장에 올랐다. 하지만 박정희 정부는 실미도 부대에 대해 철저하게 숨겼고, 그것은 전두환 정부나 노태우 정부도 마찬가지였다. 그러다가 1999년 소설 실미도가 발간되면서 주목을 받게 됐고, 2003년 강우석 감독 영화 실미도가 개봉되면서 대중에게 알려지기 시작했다. 2020년 출범한 2기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가 처형된 공작원 4명의 유해가 대방동 인근에 암매장되었다는 전직 공군 법무관의 양심선언을 입수하고 진상조사에 착수했다.저작권자 © 파이낸셜리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