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의 역사와 함께한 맥주
맥주는 인류의 역사와 함께 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농경이 시작한 1만 4천년전부터 맥주 양조장을 만들어 본격적인 생산을 시작했다는 것이 고대 이집트 양조장 유적이 발견되면서이다. 해당 양조장은 한번에 2만 2천 리터 이상의 맥주를 만들 수 있었다. 고대 이집트 기록에는 맥주가 기록돼 있다. 기원전 4세기 이전에 이집트에서 발효된 맥주를 기원으로 하며 이 맥주는 알파벳 표기로 Zythum 이라고 불렀다. 여기서 효모를 뜻하는 Zymogen, 또한 Zymo-(효모의)라고 하는 접합어가 나왔다. 당시 맥주는 현재 ‘라거’ 형태가 아니라 죽과 같은 걸쭉한 형태로서 효소로 분해된 각종 비타민과 아미노산이 풍부하기 때문에 식사 대용이었다. 보리를 빵으로 구워서 그것을 물에 부숴 풀거나 부리죽을 쑤어서 항아리에 부어 자연발효 시키면 윗술은 알코올화된 현대적 의미의 맑은 맥주가 되고, 그 아래에는 죽 형태의 맥주였다.게르만족 대이동 통해 유럽으로 전파
이런 맥주는 게르만족 대이동 통해 유럽 전역으로 전파돼다. 중세 유럽은 맥주를 식사와 함께 항상 마셨다. 이런 이유로 봉급의 일부에 맥주가 포함될 정도였다. 다만 우리가 흔히 오해하는 것 중 하나가 맥주를 많이 마시는 이유가 물이 오염됐기 때문이라는 것인데 단순히 기호식품으로 선호했기 때문이라는 것이 우세하다. 중세 유럽 사람들이 맥주를 마셨지 물은 거의 마시지 않았다고 하는 것이 단순히 물의 오염 때문은 아니라는 것이다. 그 이유는 와인은 부유한 사람, 맥주는 가난한 사람, 물은 가장 가난한 사람을 위한 음료라는 인식이 강하게 작용됐기 때문이다. 즉, 와인과 맥주는 부의 상징이면서 기호품이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맥주가 알콜 함량이 낮은 것도 음식 섭취와 함께 할 수 있게 했던 것 중 하나다. 도수가 높은 주류가 아니라 도수가 낮은 주류이기 때문에 평소에도 부담 없이 즐겨 마실 수 있게 됐다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고대 이집트의 죽과 같은 제조 방식이 아니라 오늘날 라거 형태의 맥주가 나오게 되면서 그에 따라 맥주의 보급이 더욱 보편화됐다.저작권자 © 파이낸셜리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