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속 경제리뷰] 젠트리피케이션
[역사속 경제리뷰] 젠트리피케이션
  • 어기선 기자
  • 승인 2023.04.18 13:33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진=픽사베이
사진=픽사베이
[파이낸셜리뷰=어기선 기자] 젠트리피케이션은 본래 낙후되거나 저소득층 혹은 영세 기업이 주를 이루던 지역이 개발되는 과정에서 고급 주택과 대형 문화·상업시설이 들어오면서 지대가 상승해 원주민이 쫓겨나는 현상을 말한다. 젠트리피케이션이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된 이유는 임차인들이 열심히 노력을 해서 이동인구를 많이 만들어 내고, 그로 인해 상권이 활성한 시점에서 건물주가 임대료를 높게 부르면서 더 이상 임차인들이 상업활동을 할 수 없게 되면서 쫓겨나기 때문이다. 그로 인해 해당 지역의 특징이 사라지게 되고,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대형 문화·상업시설이 들어오게 된다.

루스 글래스가 사용

젠트리피케이션은 1964년 독일계 영국인 지리학자이자 사회학자인 루스 글래스(Ruth Glass)가 저서 ‘런던: 변화의 양상(London: Aspects of Change)’에서 처음 사용했다. 영구의상류 신분인 젠트리에서 나온 말이다. 기존 거주민들이 지역의 특색과 특유의 감성을 잘 살려서 독특한 문화를 가꿔왔지만 유명세를 타면서 이동인구가 대거 유입, 이를 통해 점포의 평균 매추이 올라가게 되고, 수요가 늘어나면서 지주는 실익을 더 얻기 위한 욕심으로 임대료 상승이라는 순환이 이어지게 된다. 그로 인해 기존 거주민은 쫓겨 나게 되고, 대형 자본이 들어오게 되면서 지역적 특색이 사라지게 된다. 가장 대표적인 장소가 대학로이다. 대학로는 대학생들과 연극인들의 활동 중심지였다. 하지만 젠트리피케이션으로 인해 임대료가 비싸지게 되면서 연극인들의 공간은 인근 성북구 등으로 이전을 하게 되고, 해당 지역은 흔한 번화가로 바뀌게 됐다.

젠트리피케이션으로 쇠락하기도

이태원 경리단길은 젠트리피케이션으로 인해 쇠락한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용산미군기지와 가깝기 때문에 개발제한구역으로 묶이면서 2000년대까지는 그야말로 낙후된 동네였다. 그런데 미군기지가 평택으로 이전하면서 급속도로 식당이나 술집 등의 가게가 늘어나기 시작했다. 그러면서 해방촌, 연남동 등과 함께 점차 발전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2018년부터 쇠락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입소문을 타서 자연스럽게 손님들과 방문객들이 늘어났지만 건물주들이 임대료를 올리게 되면서 가게가 문을 닫기 시작했고, 가게가 문을 닫다보니 방문객의 숫자도 줄어들면서 덩달아 인근 가게들도 영업을 중단해야 했다. 그리고 코로나19로 인해 상권이 완전히 허물어졌다.

자본주의 논리에 따르면

젠트리피케이션에 대해 부정적인 시선도 있지만 자본주의 논리에 따르면 자연스런 현상이다. 왜냐하면 공급은 한정돼 있는데 수요가 늘어나게 되면 그에 따라 가격은 상승할 수밖에 없다. 건물주 입장에서도 들어오겠다는 임차인들이 많아지게 되면 임대료를 올리는 것은 당연하다. 따라서 건물주만 무조건 ‘절대악’이라고 표현할 수도 없다. 결국 건물주와 임차인 그리고 방문객 모두 공생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젠트리피케이션을 무조건 절대악으로 볼 것이 아니라 상생의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길복숭 2024-04-18 14:56:14
백종원도 이거때메 예산에서 화가 많이 났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