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리뷰=어기선 기자] 1484년 9월 27일은 창경궁이 준공된 날이다. 창경궁은 세종대왕이 즉위하면서 태종 이방원이 기거하던 궁이었지만 정식적으로 준공된 것은 성종 15년(1484년)이다. 이는 할머니 자성왕대비 윤씨, 어머니 인수대비 한씨, 숙모 인혜대비 한씨를 모시기 위해 확장하면서 ‘창경궁’으로 이름을 붙였기 때문이다.
원래부터 ‘상왕’이나 ‘대비’를 모시기 위해 만든 궁이기 때문에 경관이 수려하다. 그리고 조선시대 궁궐 중에 동향을 한 궁궐이기도 하다.
왕자의 난 이후 경복궁 떠난 태종 이방원
태조 이성계가 조선을 개창한 후 한양으로 천도하면서 경복궁에서 생활했지만 1차 왕자의 난이 발생하고, 정종이 즉위하면서 자신의 아우들이 살해된 것은 물론 삼봉 정도전의 흔적이 담겨진 경복궁에서 더 이상 생활하고 싶지 않아서 다시 개경으로 천도를 했다.
하지만 태종 이방원이 즉위하면서 다시 한양으로 천도하면서 경복궁 대신 새로운 전각 즉 창덕궁을 만들고, 생활했다.
이후 태종 이방원이 세종대왕에게 왕위를 물려주게 되면서 상왕이 되면서 생활할 공간이 필요했다. 태조 이성계는 정종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소요산에 위치한 이태조 행궁에서 생활을 했지만 태종 이방원은 양위를 한 후 따로 생활할 공간이 필요했고, 이에 세종대왕은 상왕인 태종 이방원이 기거할 궁궐을 새로 지으면서 ‘만수무강과 평안을 바란다는 뜻’으로 수강궁(壽康宮)이라고 명명했다.
그 이후 태종의 후궁들이 기거하거나 단종이 수양대군에 의해 왕위에서 쫓겨난 후에 수강궁에서 기거하기도 했다.
성종 들어서서
성종에 들어서면서 수렴청정을 중단한 자성왕대비가 스스로 인수대비와 함께 수강궁으로 이어를 했다. 이에 성종은 자성왕대비, 인수대비, 예종의 계비인 숙모 인혜대비를 모시기 위해 수강궁을 대대적으로 확장하면서 ‘창성하고 경사스럽다’는 의미로 창경(昌慶)이라고 이름을 명명했다.
창경궁은 임진왜란 때 왜군의 방화로 모두 소실됐지만 광해군 7년(1615년) 4월에 주요 건물들을 재건해 이듬해 11월 마무리됐다.
일제강점기 때는 창경원으로
창경궁은 1909년 일제가 강제적으로 내부 궁문, 담장, 전각들을 헐고, 일본식 건물을 세워 동물원, 식물원을 만드는 등 유원지를 만들었다.
또한 1911년 자경전터에 2층 규모의 박물관을 세우고 창경궁의 명칭을 ‘창경원’으로 바꿔 격하시켰다. 1924년에는 벚꽃놀이를 열었다.
그러면서 창경원은 유원지로 오랜 시간 함께 했다. 그러다가 1981년 대한민국 정부에서 창경궁 복원 계획을 결정하면서 원형을 되찾기 시작했으며, 1983년 12월 31일자로 공개 관람이 폐지되고 명칭도 창경원에서 다시 창경궁으로 회복됐다. 그러면서 동물사육장을 폐쇄한 후 서울대공원으로 이관했다.
뿐만 아니라 일본식 건물을 철거하고 창경궁 본연의 모습을 복원하기 시작했고, 1986년 일반인에게 공개됐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리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