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리뷰=이정우 기자] 전통시장은 그야말로 화약창고나 다름없을 정도로 화재에 취약한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 10년간 전통시장 화재로 인해 558억 7천만원의 재산 피해가 발생했다.
지난 22일 동대문 제일평화시장에서 발생한 화재가 23시간 만에 진화되면서 전통시장 화재에 관심이 가고 있다.
이날 화재는 불이 옮겨 붙기 쉬운 옷가지가 많고, 화재에 취약한 건물 구조로 진화에 큰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전해진다.
지하1층, 지상7층 건물에서 의류매장 모여 있던 3층에 불이 시작됐는데, 스프링클러는 새로 증축된 4층 이상에만 설치됐고 건물 내부에 창도 거의 없는 구조라 순식간에 확산됐다. 소방당국과 경찰, 한전 등이 합동 감식을 통해 정확한 화재 원인을 조사하고 있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김규환 자유한국당 의원이 한국전기안전공사로부터 제출 받은 ‘2018년 전통시장 화재안전점검 종합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2008년부터 2017년까지 전통시장 화재로 인한 재산 피해가 558억7천만원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시장 화재사고는 건물의 밀집화로 대형화재로 이어지기 쉽다. 전통시장은 상점가 및 백화점 등 타 판매시설에 비해 건당 재산피해가 큰 상황으로 시장점포의 전기사용은 상당한 주의와 예방이 필요하다.
지난해 전통시장 화재안전점검은 363개소 시장, 4만 6천852점포에 대해 실시했는데, 시장별 종합안전등급은 A등급 30개소(8.3%), B등급 222개소(61.1%), C등급 99개소(27.3%), D등급 12개소(3.3%)로 나타났다.
D등급이하 즉시 전기시설 개선이 필요한 시장은 12개소로 서울 1개시장(우림시장), 부산 4개시장(수정시장, 부산평화시장, 보수종합시장, 창선시장), 대구 1개 시장(월배시장), 대전 1개시장(대전도매시장), 경기 4개시장(연무시장, 스타프라자전통시장, 신안프라자전통시장, 신안코아시장), 제주 1개 시장(한림민속오일시장)이다. 이들 12개소의 전통시장은 전반적인 전기시설 개·보수가 매우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D등급이하 점유율은 전체 3.3%로 지역별로 대전(50%)>경기(20.0%)>제주(10.0%)>부산(9.5%)>대구(7.1%)>서울(2.2%)순의 결과를 보였다.
화재안전점검을 실시한 4만 6천852점포에 대한 개별 점포의 안전등급은 A등급 1만 471개소(22.3%), B등급 31,769개소(67.8%), C등급 2,122개소(4.5%), D등급 2,296개소(4.9%), E등급 194개소(0.4%)로 나타났다.
D등급이하 점포의 지역별 점유율은 대전(22.6%)>경기(16.6%)>제주(14.9%)>부산(10.1%)>경남(8.6%)>대구(7.1%)>전남(5.8%)>강원(4.7%)>인천(4.6%)>경북(3.7%)>울산(3.3%)>충남(2.3%)>전북(1.6%)>광주(0.5%)>서울(0.3%) 순의 결과를 보였으며, 시도의 특성과는 관계없이 전통시장 전기설비 노후화는 전국적으로 분포돼 있었다.
또한, 시장별 안전등급 D등급(심각)이하 점포 비율이 가장 많은 곳은 대전도매시장 (총90곳 중 88곳), 부산평화시장(총612곳 중 558곳), 제주 한림민속오일시장(총120곳 중 105곳), 경기 신안코아(총109곳 중 87곳), 경기 신안프라자(총115곳 중 90곳) 순으로 나타났다.
김 의원은 “전통시장은 도심과 주택가의 상점가 주변에 위치하고 점포의 밀집화로 화재사고 발생시 대형화재로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지적하며, “안전점검 결과에 따라 각 점포의 부적합 전기설비의 위험요소를 제거하고 철저한 안전관리가 병행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