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리뷰=채혜린 기자] 국내 저비용항공사(LCC)인 제주항공이 이스타항공을 인수하면서 항공업계의 구조조정 신호탄을 쏘아올렸다.
제주항공이 아시아나항공 인수에 실패하면서 ‘메가 캐리어’ 체제로 항공업계에 드리운 먹구름을 거둬내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번 제주항공의 이스타항공 인수는 앞으로 저가항공업계에 M&A 바람을 일으킬 것으로 기대되면서 항공업계가 예의주시하고 있다.
제주항공-이스타항공, 양해각서 체결
18일 제주항공은 이스타항공의 최대 주주인 이스타홀딩스와 주식매매계약(SPA)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이로써 경영권 인수를 위한 절차에 돌입했다. 제주항공은 이스타항공 지분 51.17%(497만 1천주)를 인수하게 되면 경영권을 확보한다.
제주항공은 아시아나항공 인수전에 뛰어들었지만 현대산업개발그룹에 의해 실패를 하게 되면서 다른 저가항공사 인수로 가닥을 잡을 것이라는 분위기가 팽배했다. 그리고 이날 양해각서를 체결하면서 사실로 드러났다.
제주항공이 이스타항공을 인수하게 된 것은 최근 불어닥친 항공업계의 찬바람 때문이다. 올해 7월 한일 관계 악화에 따른 일본여행 불매운동이 본격화되면서 일본 노선의 축소가 불가피했다.
또한 저가항공사가 많이 생겨나면서 그에 따른 과도한 경쟁구도로 실적 악화가 이뤄졌다. 문제는 내년도에도 항공업계가 훈풍을 타리라는 보장이 없다. 이에 따라 메가 캐리어 전략을 구사하는 것이 가장 낫다고 판단했다.
제주항공의 항공노선(국제·국내선 통합, 유임·환승여객 기준) 점유율은 10.18%, 이스타항공이 5.02%이다. 산술적으로 따지면 2위인 진에어(7.56%)를 뛰어넘게 되는 셈이다.
저가항공사들, 매가 캐리어 전략 구사
제주항공이 이스타항공을 인수하면서 저가항공사들은 ‘매가 캐리어’ 전략을 구사할 것으로 보인다.
메가 캐리어는 이미 유럽에서 구사했던 전략이다. 유럽에서도 저가항공사 바람이 불면서 저가항공사들이 우후죽순으로 생겨났다. 그에 따른 경영 실적 악화 등이 동반되면서 더 이상 저가항공사들이 늘어나는 것은 무의미해졌다.
이에 저가항공사들이 선택한 전략은 자신들과 비슷한 수준의 항공사를 인수해서 규모의 경제를 만드는 것이었다.
저가항공사가 다른 저가항공사를 인수·통합해서 커다란 항공사로 변모해서 노선 점유율을 높여가는 전략이다.
국내 저가항공사들도 실적 악화 등으로 인해 새로운 길을 모색해야 하는데 그 전략으로 ‘메가 캐리어’ 전략을 구사하게 되는 셈이다.
이석주 제주항공 사장도 “이스타항공 인수를 통해 여객점유율을 확대하고 LCC 사업모델의 운영효율을 극대화해 LCC 선두 지위를 공고히 할 계획”이라고 말한 것도 바로 ‘메가 캐리어’ 전략을 구사하겠다는 뜻을 보인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저가항공사들도 이제 구조조정의 시대가 도래했다. 살아남기 위해서는 통폐합이 불가피하다. 매각과 인수 등을 통해 몸집을 불려야만 저가항공사들이 살아남는다”고 진단했다.
과거 자고 일어나면 소규모 은행들이 우후죽순처럼 생겨났지만 IMF가 터지면서 결국 통폐합의 길을 걸어서 메가 뱅크가 탄생을 했다. 마찬가지로 저가항공사들이 통폐합을 통해 메가 항공사가 탄생할 것으로 예측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