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리뷰=박영주 기자] ‘축농증’이라 불리는 부비동염은 코 주위 뼛속에 공기가 차있는 공간인 부비동에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침투해 발생하는 염증성 질환이다.
부비동이 특정원인으로 제 역할을 하지 못하면 화농성 분비물이 고이면서 내부점막에 염증이 발생하는데, 주로 부비동이 완전히 발달하지 않은 소아 및 아동에서 발병비율이 높다. 부비동염은 재발이 많고 만성화되기가 쉬워 관리가 중요하다.
감기 바이러스와 황사‧꽃가루 등이 주원인인데 최근에는 대기오염‧스트레스로 인한 면역력 저하 등의 이유로 환자수가 급증하고 있다.
실제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빅데이터에 따르면, 급성 부비동염 환자수는 최근 2년간 약 2배 까지 증가했다. 2021년 195만5947명이었던 급성 부비동염 환자는 2022년 256만4506명으로 약 31% 가량 늘었으며, 2023년에는 2022년 대비 증가율 약 56% 증가해 399만4297명까지 늘어났다.
사실상 매년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 셈인데, 일반적으로 부비동염은 겨울에서 봄 사이 빈번하게 발생하지만 늦봄부터 초여름 사이의 발병률도 높다. 5~6월에는 한낮 기온이 여름을 방불케 할 정도로 크게 오르지만 아침‧저녁으로는 쌀쌀한 탓에 면역력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부비동염은 크게 급성과 만성으로 구분되는데, 증상 발병 4주 이내는 급성, 12주(3개월) 이상 지속되면 만성으로 분류된다.
급성 부비동염은 코막힘, 콧물, 권태감, 두통, 미열, 안면통증 등의 증상을 보이며 만성 부비동염은 코막힘, 지속적인 누런 콧물, 코 뒤로 넘어가는 콧물(후비루) 등의 증상이 주로 나타난다.
감기와 비슷한 증상이어서 급성 부비동염을 제때 발견하지 못해 적절한 치료가 이뤄지지 않으면 눈 주위 봉와직염, 경막외, 뇌막염, 뇌농양, 골수염 등 다양한 합병증 및 만성 부비동염을 야기할 수 있다.
바이러스가 주원인인 감기는 치료시 세균 감염이 의심되는 극히 일부를 제외하고는 항생제가 필요하지 않지만, 세균이 주원인인 부비동염 치료에는 항생제를 충분한 기간 동안 투여해야 한다.
따라서 감기치료에 주로 사용되는 약제들을 복용해도 증상이 여전히 지속된다면 부비동염을 의심해볼 필요가 있다.
급성 부비동염 치료에는 주로 경구용 항생제가 주로 사용되는데, 보통 10~14일간 항생제가 투여된다. 적절한 항생제 치료시 임상적 증상은 48~72시간 내로 호전된다. 만성 부비동염 역시 항생제 투여가 가장 중요한 치료법이지만 약물 요법에도 효과가 없다면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부비동염 치료에는 항생제 외에도 다양한 보조약제가 사용될 수 있다. 대웅제약은 대표적인 보조 약제로 코막힘‧콧물 등의 개선에 도움이 되는 항히스타민제 ‘코메키’나 ‘캡슐’, 점액용해제 ‘엘도스’, 국소용 스테로이드제 등이 있다고 설명했다.
대웅제약 측은 “생활 속에서 생리식염수를 이용한 코세척, 가습기를 이용한 습도 조절 등이 점액의 점도를 낮춰 배액과 섬모운동을 향상하고 점막충혈을 완화하는 등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