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통한 과거리뷰] 출구조사
[오늘 통한 과거리뷰] 출구조사
  • 어기선 기자
  • 승인 2024.04.12 10:4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역구 투표지를 분류기에 넣는 모습./사진=김희연 기자
지역구 투표지를 분류기에 넣는 모습./사진=김희연 기자
[파이낸셜리뷰=어기선 기자] 22대 총선에서 투표 종료 직후 발표된 지상파 방송3사 출구조사 결과가 실제 개표 결과와 달랐다. 출구조사의 예측치가 빗나갔고, 수도권과 영남에서는 출구조사 결과와 실제 개표 결과가 다르게 나타났다. 거액을 들여서 한 출구조사가 민심을 정확하게 전달하지 못했다는 평가다. 출구조사는 선거 여론조사의 한가지 방법으로 투표소 근처에서 투표를 마치고 나온 사람에게 누구를 찍었는가를 조사해서 통계를 내서 활용하는 여론조사이다.
투표소에서 투표를 마치고 나온 사람들에게 직접 조사를 하기 때문에 일반 여론조사보다 훨씬 정확하다. 출구조사는 1967년 미국 CBS에서 출구조사를 시행한 것이 시초이다. 1968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출구조사 결과가 실제 개표결과와 거의 비슷한 결과로 나오면서 빠르게 출구조사가 전 세계로 확산됐다.

국내에서는 1990년대 들어서

이미 서구권에서는 1970년대 출구조사가 도입됐지만 우리나라에서는 1990년대 중반이 돼서 도입됐다. 그것은 민주화 이후 직선제가 도입되면서이다. 아울러 SBS가 개국을 하면서 시청률 경쟁이 격화되면서 시청자를 사로잡기 위해 출구조사가 도입됐다. 이에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MBC가 한국갤럽이 전화 여론조사를 토대로 6시에 예측 결과를 발표하면서 15개 광역단체장 당선자를 전부 맞추면서 출발했다. 선거법 위반 논란이 있었지만 선진국에서 출구조사가 일반화됐다면서 그해 12월 공직선거법 개정이 이뤄지면서 출구조사가 허용됐다. 이에 1996년 제15대 총선거에서 출구조사가 도입됐다. 하지만 전화 여론조사에 그쳤고, 일부 지역구에만 시행이 됐다. 1997년 제15대 대통령 선거에서 선거 결과를 적중시키면서 출구조사가 본격적으로 정착됐다. 2000년대 제16대 국회의원 총선거에서는 투표소 300m로 기준이 완화됐고, 80여개 경합 지역구 투표소 출구조사로 이뤄졌다. 하지만 총선 결과 예측은 빗나갔다. 2002년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와 제16대 대선에서는 정확하게 맞췄고, 2004년 제17대 총선에서는 투표소 100m로 기준이 완화됐다. 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부터는 지상파 3사가 공동으로 출구조사를 시행해왔고, 2012년 제19대 총선에서부터는 대상 지역구를 246개 모든 지역구로 확대하고, 투표소 50m로 출구조사 기준이 완화됐다.

대선·지방선거에 비해 총선은 출구조사 무덤

출구조사가 대선이나 지방선거에 비해 총선은 무덤이라고 한다. 출구조사는 5명 당 한 명씩 조사를 한다. 문제는 고연령층 유권자들은 응답을 거부한다. 설사 응답을 한다고 해도 오답을 기재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것은 자신의 정치적 의사를 제대로 표출하지 않는 것을 미덕으로 알고 살아왔기 때문이다. 여기에 사전투표율이 점차 높아지면 높아질수록 출구조사 정확도는 떨어진다. 왜냐하면 현행 선거법상에서는 사전투표의 출구조사가 금지됐기 때문에 여론조사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알아내는 것 이외에 방법이 없다. 대선과 지방선거에 비해 총선의 출구조사가 정확하지 않는 이유는 ‘출구조사 샘플’이 대선이나 지방선거에 비해 적기 때문이다. 대선이나 지방선거의 경우 광역단체장을 대상으로 출구조사를 하는데 그만큼 샘플이 많을 수밖에 없다. 반면 국회의원은 지역단위이기 때문에 샘플이 적을 수밖에 없다. 샘플이 적으면 적을수록 그만큼 출구조사 정확도는 떨어질 수밖에 없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