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 저축은행과 다른 새마을금고의 문제 해결 방식
하지만 새마을금고의 문제 해결 방식은 조금 다르다. 영업정지 조치를 하고 새마을 금고 문을 닫고 받을 돈과 내줄 돈을 따져보는 것까지는 다른 2금융권의 방식과 동일하다. 다만, 그 과정에서 확인된 구멍 난 금액을 일단 새마을금고중앙회(회장 박차훈)가 모두 메워준다. 결국 예금자들은 그래서 아무 손해를 보지 않는 셈이 된다. 새마을금고의 이같은 문제 해결 방식은 국내 5대 주요 시중은행을 포함한 1금융권 은행들과 결국 비슷한 구조로도 볼 수 있다. 은행들도 특정 지점의 대출에 손실이 크게 생겼다고 해도 은행 본점이 자금을 수혈해 아무 문제 없이 영업을 지속할 수 있기 때문이다. 어쨌든 새마을금고는 문제가 생겨서 문을 닫아도 예금자들이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된다. 정부가 새마을금고로 달려와 예금을 인출하는 고객들에게 “걱정 말라, 괜찮다”고 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새마을금고 예금은 절대 안전한건가
그럼 새마을금고에 예금한 돈은 그 어떤 상황에서도 안전할까? 결론부터 얘기하자만 “그렇지는 않다”이다. 여기에는 2가지 예외적인 상황이 있다. 그럴 땐 5000만원 이상의 예금은 보호 받지 못할 수도 있다. 첫 번째 경우는 새마을금고 여럿이 동시에 문제가 생겨서 새마을금고중앙회의 보유 자금으로도 부실을 모두 막을 수 없을 때이다. 그 경우는 새마을금고중앙회가 정부에서 돈을 빌려서 해결하는데, 그럴 때는 5000만원 이상의 예금은 보장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새마을금고가 문을 닫는 경우가 얼마나 생기는지 잘 관찰하다가 너무 많은 곳에서 문제가 생긴다 싶으면 그때는 5000만원 이상의 예금은 인출하는 게 좋다. 두 번째 경우는 새마을금고들에 별 문제는 없는데 사람들이 불안감에 새마을금고에서 예금을 계속 인출하는 경우이다. 이런 상황을 뱅크런이라고 한다. 이 경우에는 해당 새마을금고에 부실이 없더라도 문을 닫아야 한다. 처음에는 새마을금고중앙회가 보관 중인 채권을 팔아서 예금 인출 수요에 응하게 되지만, 나중에 그 자금이 바닥나면 어쩔 수 없이 문을 닫고 5000만원까지만 예금을 보호하게 된다. 보통의 은행들은 예금 받은 돈을 대부분 대출 상품 판매에 사용한다. 하지만 새마을금고는 대출 수요가 많지 않아서 예금 받은 자금의 30% 정도는 채권 등 유가증권에 투자한다. 그래서 두 번째 경우의 문제가 지속된다면 새마을금고중앙회가 보관하는 30% 정도의 채권을 계속 처분해서 예금을 내주게 된다. 전체 예금 고객의 3분의 1 이상이 예금 인출을 요청하지만 않으면 뱅크런으로 문을 닫을 이유는 없다. 결국 새마을금고의 5000만원 이상 예금자들은 새마을금고 여러 곳이 계속 문을 닫고 있다는 뉴스가 들리거나, 새마을금고에 뱅크런이 발생해 예금 지급이 어려워진다는 뉴스가 들리기 전에는 예금을 깨지 않는 게 좋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최근 주요 언론 보도에 따르면 7월 들어 새마을금고의 예금을 인출하는 소비자들이 급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서 앞서 언급한 두 번째 경우의 문제를 걱정해야 할 수도 있지만 현재까지는 새마을금고 전체 예금액의 30% 정도로 보유 중인 채권을 내다 팔아서 인출 수요에 대응하고 있다.새마을금고 때문에 시중금리 인상?
그런데 문제는 이같은 해결방식을 보이다 보니 새마을금고가 채권 시장에 매각하는 채권의 양이 급증했다. 통상적으로 채권의 매물이 늘어나면 채권 가격은 하락하고 채권금리는 상승한다. 시중금리가 최근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이는 원인도 새마을금고의 보유 채권 매각 탓으로 보인다는 게 금융권의 중론이다. 새마을금고에 이런 소동이 벌어지고 있는 이유는 근본적으로는 부동산 PF 대출 때문이다. 부동산 PF 대출은 아파트나 오피스텔 등을 지어 공급하기 위한 초기 프로젝트 대출을 의미한다. 부동산 경기가 고점을 찍고 내려오는 시기에는 늘 고점 부근에서 무리하게 사업을 시작한 PF 사업장들에 문제가 생기고, 여기에 대출해준 금융회사들도 자칫하면 돈을 떼이는 일이 벌어진다. 주로 지방이나 도시 외곽 비인기 지역의 부동산 프로젝트들에 그런 문제들이 발생한다. 그래서 새마을금고가 PF대출을 해주지 못하도록 막더라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 이번에는 새마을금고가 그런 PF 대출을 대량으로 해줬다가 문제가 생겼지만 과거에는 저축은행이나 증권사도 비슷한 문제를 겪었다. 우리나라에서 아파트나 오피스텔 등 건물을 지으려면 반드시 필요한 것이 초기 위험을 감수하고 대출을 해주는 PF 대출이다. 그런데 PF 대출을 하지 않으면 건설 공사가 진척이 안 돼 주택 공급이 안되고, 그렇다고 다 해주면 부동산 거품이 꺼지는 시기에 그 금융회사들에 문제가 항상 생긴다. 이번에는 새마을금고이지만 다음에는 또 저축은행이 될지 캐피탈이 될지 아무도 모를 일이다.문제는 PF대출인데...
김주현 금융위원장이 지난 7일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부동산 PF 대출의 총량 규제는 하기 어렵다는 발언을 한 배경도 이런 이유에서다. 부실대출이 발생하지 않으려면 대출을 해주지 않으면 되는데 부동산 PF 대출은 없어선 안 될 꼭 필요한 대출이기 때문에 그럴 수도 없는 점이 현실이다. 그래서 이런 문제는 부동산 경기가 다소 큰 진폭을 보이며 약해질 때는 예외 없이 발생한다. 새마을금고의 문제는 일부 새마을금고에서 문제가 생길 수는 있지만 새마을금고중앙회의 자금으로 대부분 해결될 수 있으니 정부 자금은 투입되지 않아도 될까? 그렇지는 않다. 결국 새마을금고가 돈을 빌려줬다가 떼이는 경우가 많이 생기면 문제가 생기는 구조여서, 정부는 새마을금고가 돈을 떼일 것 같은 케이스가 나타나면 정부 자금을 투입해 그걸 선제적으로 살려낸다. 예를 들어 어떤 새마을금고가 A라는 공사 현장에 100억원을 대출해줬는데, 연체가 시작되면 정부가 출자한 공공기관인 캠코가 그 100억원어치의 대출 채권을 100억원에 매입한다. 그러면 그 새마을금고는 100억원을 빌려줬다가 떼일 위험에 처했던 그 기록이 모두 사라지고 그냥 현금 100억원이 생기게 되는 셈이다. 사실상 새마을금고의 부실을 정부가 떠안는 셈이니 새마을금고의 부실을 해결하기 위해 정부의 자금(세금)이 투입되는 것이다.저작권자 © 파이낸셜리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